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외교안보국제부 권갑구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<br>1. 권 기자, 지난 연말부터 말폭탄과 도발을 이어오더니 오늘은 헌법 개정까지 선언을 했습니다?<br> <br>네, 그렇습니다. <br> <br>그때그때마다 던지는 말폭탄이 아니라 이제는 대남 정책을 장기적으로, 대립 구도로 끌고 가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 새해 초부터 위협 수위를 높여왔죠, 지난해 말 "적대적 두 국가"라고 규정하더니 지난 10일엔 김 위원장 명의로 "주적"이라고 처음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말폭탄 뿐만 아니죠,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에서 포 사격을 하고 그제는 요격하기가 어려운 극초음속 미사일까지 시험발사했죠.<br> <br>여기에 교류 기구도 정리하고 있으니 남북 관계가 사실상 완전 단절 상태로 들어가는 겁니다. <br> <br>다만, 북한 헌법이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바꾸기가 비교적 쉬운 편이라 일시적 위협인지 근본적 변화인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합니다. <br><br>2. 그러면 단도직입적으로 전쟁 가능성 있습니까? <br><br>외국에서부터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, <br><br>"1950년 6·25 전쟁 때만큼 한반도가 위험하다" <br> <br>"올해 동북아에서 핵전쟁을 염두해야 된다"는 전망까지 나왔죠, 실제 북한이 전쟁할 명분을 쌓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><br>실제 김 위원장은 오늘 "군사 능력이 빠른 속도로 갱신 중", "0.001mm라도 침범하면 곧 전쟁 도발"이라고 표현했습니다.<br> <br>다만, 우리나라 전문가들은 전쟁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민족 관계를 정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고, 논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전쟁 위협을 과장되게 표현했다는 겁니다. <br><br>김 위원장도 단서를 달았는데요. <br> <br>'적들이 건드리지 않는 이상' 일방적 전쟁을 하지 않고 전쟁을 피할 생각은 없지만 '바라지 않는다'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전쟁할 생각이 크지는 않다는 거죠. <br><br>3. 그럼 왜 마치 전쟁이 날 것처럼 구는 겁니까? <br><br>네, 체제에 대한 불안감, 오히려 대남 자신감이 결여되어 나온 표현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오히려 우리나라로 흡수 통일되지는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는 건데요, <br> <br>또 경제가 어려운 탓에 내부 불만을 외부로 돌리려는 의도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했습니다. <br> <br>다만, 남북 창구까지 막혔기 때문에 우발적 도발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><br>4. 올해 우리나라 총선이 3개월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. 북한이 과거에도 선거 즈음에 도발을 많이 했던거 같은데요. 이번에도 비슷한 양상으로 보입니다. <br><br>맞습니다. <br><br>한국 총선과 미국 대선이 함께 있던 2020년을 보시면요, <br> <br>4월 15일 21대 총선을 앞두고 3월에만 초대형 방사포를 1주일 간격으로 4차례, 총 9발을 쏘고 총선 전날까지 도발했습니다. <br> <br>좀 더 과거로 가면 2010년 6월 지방 선거 직전 천안함 폭침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. <br> <br>대형 정치 이벤트를 앞두고 한반도 문제의 주도권을 선점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. <br><br>5. 이런 와중에 북러는 더욱 밀착 중이죠, 현재 북러 외교장관 회담이 진행 중이죠? <br><br>네 최선희 북한 외무상을 대표로 북한 대표단이 어제부터 러시아 모스크바에 가 있죠, <br> <br>우리 시간 오후 6시부터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현재 기자회견 중입니다<br><br>북러 무기 거래, 푸틴 방북 날짜 등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푸틴 대통령의 방북 시점은 현재로선 러시아 대통령 선거가 있는 3월 전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시점은 우리나라 4월 총선을 앞둔 시기이기도 합니다. <br><br>네, 지금까지 아는기자 권갑구 기자였습니다.<br>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